SCROLL DOWN TOUCH DOWN

목숨을 걸고
탈출한 아이

텅 빈 대피소
앞에 선 엄마

위험을 피해
잠시 몸을 숨긴 가족들은
지금도 누군가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 목소리에 응답하기 위해,
오늘도 우리는 현장으로 향합니다.

70년이 넘는 세월동안, 매일 그래왔던 것처럼.

하지만 지금,
우리는 에 있습니다.

전례 없는 국제 원조 삭감으로 인해
지원이 사라진 빈자리에,
홀로 남겨진 사람들이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난민들은 가진 것 하나 없이 도착하지만,
지원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미 수백만 명이 원조삭감의 대가를
생명으로 치르고 있습니다.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 필리포 그란디

가장 필요한 곳에
전하던 도움마저

사라질 위기에 놓였습니다.

SCROLL DOWN TOUCH DOWN
물과 위생

마실 물조차 없는 하루

깨끗한 물이 끊기며 콜레라가 재확산되고 있습니다.
위생용품도 부족해지면서, 여성과 소녀들이
위생·건강·안전에서 모두 소외되고 있습니다.

물과 위생이 무너지면, 생명도 무너집니다.

식량

굶주림이 당연해진 하루들

방글라데시에서는 영앙실조에 걸린
아동 19,000명이 생명을 잃을 위기에 있고,
케냐 난민캠프에서는 영양실조로 입원하는
아이들 수가 50% 이상 급증했습니다.

먹을 것 없는 하루가 당연해지는 현실,
지금 이 순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긴급구호

잠잘 곳 없는 밤

콩고민주공화국을 넘어온 난민 40,000명에게
남아 있는 담요는 고작 147장뿐.

콜롬비아 국경에서는 폭력 속에서 도망친 난민들이
기본적인 생필품조차 받지 못한 채, 땅바닥에서
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머물 곳 없는 현실이 점점 더 확산되고 있습니다.

교육

학교 대신
거리로 내몰리는 아이들

수단과 국경을 맞댄 차드에서는 교사 부족이
심각해지며 학교가 문을 닫고,
난민 아이들은 점점 더 거리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교육의 빈자리를 노린 아동 노동, 인신매매, 조혼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건

병원 문턱에서
돌아서는 사람들

방글라데시에서는 임산부 40,000명,
중증질환자 10,000명이 치료를 받지 못할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집트에서도 의료서비스가 사실상 중단되며,
20,000명 이상이 필수 진료에서 배제되고 있습니다.

국제 원조가 줄어든 빈자리에,

후원자님이 필요한 도움을 채워주세요

난민 위기
지금, 빈자리:"1,160만 명"의 기록
Now, the Void:
Tracing 11.6 Million Stories
+ 자세히 보기
차드 난민
자리의 경계:의료지원 중단, 생과 사의 경계
At the Edge of the Void:
Tracing the Collapse of
Carer and Survival
+ 자세히 보기
난민 지원
지금, 빈자리의 내일:자리를 채우는 것은,
The Tomorrow of the Void:
Tracing What It Takes to Fill It
+ 자세히 보기

자리를 채워온

유엔난민기구의 응답들

긴급구호
난민등록,
법적보호

권리를 지켜주는 든든한

대변인
긴급구호
긴급구호,
임시거처

품어주고 지켜주는

보호자
긴급구호
영양, 보건의료

몸과 미음을 회복하는

치유자
긴급구호
교육

배움의 씨앗을 심는

선생님
긴급구호
물, 위생, 환경

일상을 함께 돌보는

이웃
긴급구호
자립과 생계

함께 일상을 재건하는

동료
긴급구호
사회심리적 지원

마음을 나누는

친구
긴급구호
영구적 해결책

미래를 함께 그리는

길잡이
유엔난민기구는 후원자님의 뜻이
온전히 전해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37개 국
유엔난민기구가
활동하는 국가의 수
100%
난민들에게 전달되는
후원금
90%
유엔난민기구 직원 중
현장에서 일하는
직원의 비율

그래도 우리는
끝까지 현장을 지킵니다.

난민 지원만큼은 끝까지 지키고자
본부와 지역 사무소의 운영 인력과
비용부터 먼저 감축했습니다.

각국의 상황과 필요, 다른 기관과의
역할 분담 가능성을 꼼꼼히 살피며,
제한된 자원으로 더 많은 생명을
살리기 위한 선택을 이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