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째 계속되는 수단 분쟁, 1,300만 명이 집을 잃었습니다
2023년 4월 15일, 수단 정부군과 반군 준군사조직 간 무력 충돌이 발발한 지 벌써 2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여러 번의 휴전 선언에도 불구하고 분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 참혹한 분쟁으로 인해 약 1,300만 명의 수단 사람들이 강제로 집을 떠나야 했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가까스로 국경을 넘어 차드, 남수단, 이집트 등 이웃 국가로 피난했고, 또 일부는 아직도 안전을 찾아 길 위를 헤매고 있습니다. 기차도, 버스도 탈 수 없어 두 발로 국경을 넘을 수밖에 없는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 수많은 가족들이 최소한의 옷가지와 식량만을 가지고 피난처에 도착해 야외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한계에 다다른 주변국들
수단 주변 국가들도 이미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차드, 남수단, 이집트 같은 나라들은 원래부터 많은 난민들을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이들 국가 대부분은 기아와 경제 불안정, 기후 변화로 자국민들도 힘들게 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수단 분쟁이 터지면서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국경을 넘고 있습니다. 현장 구호 전문가들의 말에 따르면, 수많은 가족들이 걸치고 있는 옷과 간단한 짐만 가지고 야외에서 지내고 있다고 합니다. 한 차드 국경 지역의 임시 거처에는 지붕조차 없어서, 사람들은 뜨거운 태양을 피하기 위해 나무 그늘 아래로 몰려듭니다. 하지만 나무 그늘도 부족해서 많은 사람들이 40도가 넘는 뜨거운 햇볕을 그대로 받으며 견뎌야 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들 중 대부분은 여성과 어린이입니다. 남편을 잃고 혼자서 대여섯 명의 아이를 데리고 온 엄마들도 있습니다.
이들에게 당장 먹을 것, 마실 물, 잠잘 곳이 절실합니다. 담요, 비누와 같은 기본적인 생활용품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원이 줄어들면서 더욱 절망적인 상황
유엔난민기구는 차드를 비롯한 여러 인근 국가에서 수단 난민들을 위해 의료 서비스, 교육, 보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인도적 지원 예산이 줄어들면서 상황이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5월 15일 기준, 수단 긴급구호에 필요한 예산 중 26%만이 확보되었습니다. 수단 내 유엔난민기구 활동 예산은 22%만, 수단 난민 대응 계획은 고작 12%만 모였습니다. 이렇게 예산이 부족하다 보니, 난민 아이들이 다닐 수 있는 학교는 문을 닫고, 보건소 운영은 중단되고, 깨끗한 물 공급도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분쟁으로 급하게 피난길에 오른 수단 가족들에게는 임시 거처, 물과 식량 같은 가장 기본적인 도움이 시급합니다. 현장에서 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지금 유엔난민기구와 함께해 주세요.
2년째 계속되는 수단 분쟁, 1,300만 명이 집을 잃었습니다
2023년 4월 15일, 수단 정부군과 반군 준군사조직 간 무력 충돌이 발발한 지 벌써 2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여러 번의 휴전 선언에도 불구하고 분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 참혹한 분쟁으로 인해 약 1,300만 명의 수단 사람들이 강제로 집을 떠나야 했습니다. 그들 중 일부는 가까스로 국경을 넘어 차드, 남수단, 이집트 등 이웃 국가로 피난했고, 또 일부는 아직도 안전을 찾아 길 위를 헤매고 있습니다. 기차도, 버스도 탈 수 없어 두 발로 국경을 넘을 수밖에 없는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 수많은 가족들이 최소한의 옷가지와 식량만을 가지고 피난처에 도착해 야외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한계에 다다른 주변국들
수단 주변 국가들도 이미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차드, 남수단, 이집트 같은 나라들은 원래부터 많은 난민들을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이들 국가 대부분은 기아와 경제 불안정, 기후 변화로 자국민들도 힘들게 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수단 분쟁이 터지면서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국경을 넘고 있습니다. 현장 구호 전문가들의 말에 따르면, 수많은 가족들이 걸치고 있는 옷과 간단한 짐만 가지고 야외에서 지내고 있다고 합니다. 한 차드 국경 지역의 임시 거처에는 지붕조차 없어서, 사람들은 뜨거운 태양을 피하기 위해 나무 그늘 아래로 몰려듭니다. 하지만 나무 그늘도 부족해서 많은 사람들이 40도가 넘는 뜨거운 햇볕을 그대로 받으며 견뎌야 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들 중 대부분은 여성과 어린이입니다. 남편을 잃고 혼자서 대여섯 명의 아이를 데리고 온 엄마들도 있습니다.
이들에게 당장 먹을 것, 마실 물, 잠잘 곳이 절실합니다. 담요, 비누와 같은 기본적인 생활용품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원이 줄어들면서 더욱 절망적인 상황
유엔난민기구는 차드를 비롯한 여러 인근 국가에서 수단 난민들을 위해 의료 서비스, 교육, 보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인도적 지원 예산이 줄어들면서 상황이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5월 15일 기준, 수단 긴급구호에 필요한 예산 중 26%만이 확보되었습니다. 수단 내 유엔난민기구 활동 예산은 22%만, 수단 난민 대응 계획은 고작 12%만 모였습니다. 이렇게 예산이 부족하다 보니, 난민 아이들이 다닐 수 있는 학교는 문을 닫고, 보건소 운영은 중단되고, 깨끗한 물 공급도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분쟁으로 급하게 피난길에 오른 수단 가족들에게는 임시 거처, 물과 식량 같은 가장 기본적인 도움이 시급합니다. 현장에서 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지금 유엔난민기구와 함께해 주세요.
기존 후원자이시면 로그인을 통해
보다 쉽게 후원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목적 | 항목 | 보유기간 |
---|---|---|
후원자 관리 | 성명, 생년월일,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
후원 철회 후 법정 보존기간까지 |
후원금 결제 |
CMS 자동이체 : 은행명, 계좌번호, 예금주 생년월일, 예금주명
신용카드 : 카드번호, 유효기간, 카드사 |
후원 철회 후 법정 보존기간까지 |
목적 | 후원자 관리 |
---|---|
항목 |
성명, 생년월일,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
보유기간 |
후원 철회 후 법정 보존기간까지 |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관해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거부 시 후원 신청이 불가합니다.
휴대폰으로 전송받은 인증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후원신청 시 작성하신 이름과 휴대폰 정보를
입력하시면 인증번호를 전송해드립니다.
인증번호를 해당 입력 칸에 입력하시면
로그인 됩니다.
이메일로 전송받은 인증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후원신청 시 작성하신 이름과 이메일 정보를
입력하시면 인증번호를 전송해드립니다.
인증번호를 해당 입력 칸에 입력하시면
로그인 됩니다.
유엔난민기구 로그인 아이디 만들기
현장, 전화접수 등 오프라인을 통해 후원자가 되신 분께서는
유엔난민기구 로그인 아이디 만들기를 이용해 아이디를 발급
받으신 후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유엔난민기구 신규 후원에 필요한 후원 정보를 모두
입력하지 못한 온라인 후원자의 경우,
콜센터와 통화 후 로그인 아이디 만들기 기능을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 설정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면 내 정보 조회/변경, 기부금영수증 인쇄와
같은 편리한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당자 연락처 : 후원관리팀 02-773-7272 / withyou@unhcr.or.kr
현장, 전화접수 등 오프라인을 통해 후원자가 되신
분께서는 유엔난민기구 로그인 아이디 만들기를
이용해 아이디를 발급 받으신 후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유엔난민기구 신규 후원에 필요한 후원 정보를
모두 입력하지 못한 온라인 후원자의 경우,
콜센터와 통화 후 로그인 아이디 만들기 기능을
통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 설정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면 내 정보 조회/변경, 기부금영수증
인쇄와 같은 편리한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당자 연락처 :
후원관리팀 02-773-7272
withyou@unhcr.or.kr